요즘 건강을 생각해서 걷기운동을 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걷기와 적금을 결합한 상품들도 종종 눈에 띄는데요.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은 성황리에 시즌1을 마감하고 고객 성원에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시즌2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매일 만보를 걸어야 하는 조건은 국민은행 온국민 건강적금 보다 장벽이 높지만 최고 연 11%라는 금리는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또 우리은행도 국민은행처럼 우리페이를 사용할 시에 우대금리를 주는 우리페이 적금도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과 우리페이 적금의 이자와 가입 기간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만34세 이하 청년이라면?? ⬅️⬅️⬅️
청년도약계좌
2023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과 혜택 2023년 6월에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형성지원을 위해 정부에서 내놓은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근로나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세~34세의 청년
star.scent-moon.com
청년 소득공제 장기 펀드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청년들의 자산형성 지원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금융상품 중 하나입니다. 만 19세~34세의 청년이 대상인 이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최대 720만원 소득공제 받을 수
scent-moon.com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은 매일 1만걸음을 걸으면 우대금리를 추가 제공하는 적금 상품 중 하나입니다.
기본이율 1%에 만걸음 걸을 시 우대금리 10%를 추가 제공하여 최대 연 11%의 금리를 가입기간 6개월간 제공하는 우리은행의 단기적금 상품입니다. 총 저축 금액에서 연 11% 금리의 이자를 제공하는 방식이 아닌 매일 성공여부에 따라 10%의 우대금리가 추가 제공되는 방식 이기 때문에 만걸음 걷기에 실패하는 날은 기본이율 1%만 제공됩니다.
국민은행의 온가족 건강 적금은 하루 평균 3,333걸음이 필요한데 비해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은 하루 1만걸음을 걸어야 하기 때문에 무려 7천여걸음이나 더 많이 걸어야 하지만 이율면에서 국민은행 온가족 건강 적금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평소 걷기를 많이 하시는 분들에게는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 적금을 더 추천드립니다.
- 가입대상 : 실명 개인 1인 1계좌
- 상품유형 : 자유적립식 예금
- 가입금액 : 일 1만원 이하
- 저축방법 : 매일 자유롭게 저축 만기일 전일까지 1만원 이내에서 저축 가능
- 계약기간 : 6개월
- 이자지급 : 만기일시지급
- 기본이율 : 연 1.0%
- 신규가입일 당시 영업점 및 우리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기본이율 적용 - 우대이율 : 최고 연 10% p
- 매일 1만걸음 걷기
- 만보기 서비스 (우리 WON뱅킹에서 제공하는 걸음 수 측정 서비스로 구글 피트니스(안드로이드), 건강앱(IOS)의 걸음 데이터를 연동) 를 통하여 입금일에 1만걸음 이상 걷고 우리WON뱅킹 상품 전용 페이지에서 "성공"버튼을 누르는 경우
- 이벤트 등으로 우리은행에서 별도로 인정하는 경우 - 마케팅 동의 : 우리은행 상품 · 서비스 마케팅 동의 항목 중 전화(휴대폰) 및 SMS 항목을 모두 동의한 후 만기 해지시점까지 유지
- 매일 1만걸음 걷기
우리WON뱅킹 어플의 [상품] - [적금] 페이지에서 비대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적금 페이지로 넘어가시면 크게 데일리 워킹 적금 배너가 보이니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적금 가입 후 매일 우리WON뱅킹의 만보기 서비스를 통해 걸음수를 확인하고 "성공"버튼을 반드시 눌러줘야 우대금리 10%p를 추가 제공 받을 수 있으니 잊지 않도록 주의하셔야합니다.
모든 우대금리를 추가 제공받을 경우, 매일 1만원씩 납입했다면 세후 이자 48,857원을 받아 만기 지급액은 1,848,857원이 됩니다. 하루 1만걸음을 걸어야 성공하기 때문에 실패한 날짜만큼 이자가 차감되겠지만 운동과 저축습관을 동시에 기를 수 있는 좋은 취지의 적금상품인 것 같습니다. 물론 이자만 두고 보면 다른 좋은 상품이 많고 하루 받는 이자로 나눠 생각하면 1만걸음이나 걷고 하루 몇백원 이자 받는 셈이지만 기왕 저축습관을 길러야 한다면 이런 결합 상품은 좋은 방법이 될 것 같네요.
우리은행 우리페이 적금
우리은행 우리페이 적금은 우리WON뱅킹 Pay를 가입 혹은 사용하면 우대금리를 추가 제공해주는 적금입니다. 우대금리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편이라 우리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가입할 만한 적금 상품입니다. 우리페이는 우리은행에서 운영중인 결제시스템으로 본인이 보유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혹은 입출금계좌를 우리페이에 등록하여 실물카드 없이 앱으로 결제 가능한 시스템으로 삼성페이와 비슷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삼성페이 비중이 상당히 높고 실물카드보다 페이를 이용하는 고객이 점차 늘고 있기 때문에 각 은행에서도 페이 시스템을 키우기 위해 노력중인데요. 우리은행도 역시 간편결제 시장에 도전하고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적금상품과 연계하여 출시한 것으로 보입니다.
- 가입대상 : 실명 개인 1인 1계좌
- 상품유형 : 자유적립식 예금
- 가입금액 : 월 20만원 이하
- 저축방법 : 매월 자유롭게 저축 만기일 전일까지 저축 가능
- 계약기간 : 12개월
- 가입기간 : 10만좌 판매한도 소진시 종료
- 이자지급 : 만기일시지급
- 기본이율 : 2.0%
- 신규가입일 당시 영업점 및 우리은행 홈페이지에 게시된 기본이율 적용 - 우대이율 : 최고 연 5.0% p
- 우리페이 결제계좌를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지정하고 만기일까지 유지한 경우 0.5% p 제공
-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이체 실적을 10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 0.5% p 제공
- 적금 신규일로부터 3개월 이내 우리페이로 30만원 이상 결제한 경우 2.0% p 제공
- 적금 신규일로부터 만기일까지 우리페이로 200만원 이상 사용한 경우 2.0% p 제공
우대금리 조건 중 2번째 조건인 "우리은행 입출식 계좌로 급여이체 실적을 10개월 이상 지속" 의 경우 은행에 별도로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급여이체는 기업의 주거래 은행을 따르기 때문에 기업의 주거래 은행이 우리은행이 아닌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런 상황에서는 급여를 우리은행 계좌로 "급여"라고 이체하는 경우가 많고 은행측에서도 이를 이해하고 넘어가지만 혹시라도 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은행과 꼭 상담 하고 진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 상황을 은행이 인지하고 있고 이 과정을 동의했다는 것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우대금리를 추가 제공받을 시 이자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우대금리 조건마다 이자가 조금씩 다른데요. 예상 이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간단한 적금 만기 지급액 계산으로 실제 지급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기본금리 | 우대금리 | 총 적용금리 | 예상이자 | 만기지급액 |
2.0% | 0.0% | 2.0% | 21,996 | 2,421,996 |
2.0% | 0.5% | 2.5% | 27,495 | 2,427,495 |
2.0% | 0.5% | 3.0% | 32,994 | 2,432,994 |
2.0% | 2.0% | 5.0% | 54,990 | 2,454,990 |
2.0% | 2.0% | 7.0% | 76,986 | 2,476,986 |
월 20만원씩 12개월동안 우대금리 추가제공까지 모두 받아 연 7.0%의 이율을 적용하면 세후 이자 76,986원을 받아 만기 지급액 2,476,986원이 됩니다. 사회초년생들에게 꽤 괜찮은 적금상품이 될 수 있겠네요.
➡️➡️➡️ 타은행 단기적금 ⬅️⬅️⬅️
카카오 뱅크 적금 추천 26주 적금 개설방법, 만기 이자
바닥을 치던 금리가 다시 오르면서 예, 적금에 대한 관심이 많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특판 상품이 한참 많이 보이더니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데, 카카오뱅크 26주 적금은 간편한 개설방법
scent-moon.com
'경제 정보 >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금리 걷기 결합 적금 추천 BEST 3 (0) | 2023.03.18 |
---|---|
웰컴저축은행 적금 추천 웰뱅워킹적금 (0) | 2023.03.16 |
국민은행 적금 추천 온국민 건강적금, KB스타페이적금 (0) | 2023.03.14 |
카카오 뱅크 적금 추천 26주 적금 개설방법, 만기 이자 (0) | 2023.03.13 |
세금 (지방세, 국세) 신용카드 무이자 및 혜택 비교 (0) | 2023.03.07 |